2024.06.02 (일)

  • 맑음속초15.3℃
  • 구름조금19.3℃
  • 구름많음철원17.2℃
  • 구름조금동두천17.7℃
  • 맑음파주17.1℃
  • 맑음대관령11.1℃
  • 구름많음춘천19.4℃
  • 맑음백령도15.7℃
  • 맑음북강릉14.0℃
  • 맑음강릉16.3℃
  • 맑음동해15.3℃
  • 맑음서울20.2℃
  • 맑음인천18.7℃
  • 흐림원주18.1℃
  • 구름조금울릉도13.5℃
  • 맑음수원18.2℃
  • 흐림영월18.0℃
  • 흐림충주18.0℃
  • 맑음서산18.8℃
  • 구름조금울진15.5℃
  • 맑음청주22.3℃
  • 맑음대전20.0℃
  • 구름조금추풍령18.2℃
  • 비안동16.9℃
  • 구름많음상주19.0℃
  • 구름많음포항17.6℃
  • 구름많음군산18.7℃
  • 구름많음대구18.6℃
  • 구름조금전주20.3℃
  • 구름많음울산16.9℃
  • 구름많음창원18.6℃
  • 구름조금광주19.9℃
  • 구름많음부산18.2℃
  • 구름많음통영18.3℃
  • 구름많음목포18.6℃
  • 구름많음여수19.5℃
  • 구름많음흑산도17.9℃
  • 구름많음완도19.2℃
  • 구름조금고창18.6℃
  • 구름많음순천17.2℃
  • 맑음홍성(예)19.1℃
  • 맑음19.8℃
  • 구름많음제주19.6℃
  • 구름많음고산17.5℃
  • 구름많음성산19.7℃
  • 구름많음서귀포20.5℃
  • 구름많음진주17.7℃
  • 맑음강화17.6℃
  • 구름많음양평17.6℃
  • 구름많음이천18.0℃
  • 맑음인제15.5℃
  • 흐림홍천18.5℃
  • 구름많음태백12.7℃
  • 흐림정선군14.7℃
  • 흐림제천18.8℃
  • 맑음보은17.2℃
  • 맑음천안18.9℃
  • 맑음보령16.3℃
  • 맑음부여18.5℃
  • 구름조금금산18.4℃
  • 맑음19.6℃
  • 구름많음부안18.6℃
  • 구름조금임실16.5℃
  • 맑음정읍18.6℃
  • 구름많음남원18.8℃
  • 구름많음장수15.4℃
  • 구름조금고창군16.7℃
  • 구름조금영광군17.9℃
  • 구름많음김해시18.0℃
  • 구름조금순창군18.4℃
  • 구름많음북창원18.9℃
  • 구름많음양산시19.1℃
  • 구름많음보성군20.3℃
  • 구름많음강진군20.0℃
  • 구름많음장흥18.0℃
  • 구름많음해남18.3℃
  • 구름많음고흥20.1℃
  • 구름많음의령군19.1℃
  • 구름많음함양군19.4℃
  • 구름많음광양시19.9℃
  • 구름많음진도군16.5℃
  • 맑음봉화13.6℃
  • 흐림영주16.6℃
  • 흐림문경17.4℃
  • 구름많음청송군13.9℃
  • 구름많음영덕14.9℃
  • 흐림의성18.4℃
  • 구름많음구미20.0℃
  • 흐림영천17.3℃
  • 구름많음경주시18.0℃
  • 구름많음거창19.7℃
  • 구름많음합천20.9℃
  • 구름많음밀양19.4℃
  • 구름많음산청19.9℃
  • 구름많음거제18.3℃
  • 구름많음남해18.7℃
  • 구름많음18.6℃
기상청 제공
한국 IDC, 2023 년 국내 웨어러블 시장 877 만대 출하, 올해 새로운 폼팩터 출시로 시장 내 다양화 예고
  • 해당된 기사를 공유합니다

한국 IDC, 2023 년 국내 웨어러블 시장 877 만대 출하, 올해 새로운 폼팩터 출시로 시장 내 다양화 예고

- 경기 불확실성 가중, 제조사의 재고 관리, 대부분의 신규 수요 충족 등 국내 웨어러블 시장 전체 출하량
최근 2 년 연속 감소세를 보이며 시장 위축
- 프리미엄 제품에 집중하여 수익성 개선 노력 및 저가 모델 출시로 다양한 소비자 니즈 충족
- 링(Ring), 스마트글래스 등 새로운 폼팩터 신제품 출시로 시장 내 제품 다양화 및 경쟁력 제고

[한국IDC] 웨어러블 전망 이미지 01.jpg

 

 

IT 시장분석 및 컨설팅 기관인 인터내셔날데이터코퍼레이션코리아 (International Data Corporation Korea Ltd., 이하 한국 IDC, https://www.idc.com/kr)는 2023 년 국내 웨어러블 시장의 전체 출하량은 전년대비 25.5% 감소한 약 877 만대로 집계되었다고 금일 밝혔다. 팬데믹 기간동안 헬스케어 및 미디어 컨텐츠 등의 관심도가 높아지며 웨어러블 수요가 급증하였지만 국내외 경기 불확실성이 가중되고 제조사의 재고 관리, 대부분의 신규 수요 충족 등으로 최근 2 년 연속 전체 출하량은 감소세를 보이고 있다.

 

 

품목별로 살펴보면, 이어웨어 시장은 작년 한 해 약 559 만대를 출하하며 국내 웨어러블 시장에서 점유율 63.7%를 기록하였다. 이어웨어 시장내에서도 TWS(Truly Wireless Stereo)는 꾸준하게 높은 점유율을 기록하고 있으며 벤더사는 점차 증가하는 프리미엄 제품의 수요를 충족시키며 수익성을 개선하는 추세다. 또한 틈새시장이지만 연예인 및 인플루언서의 영향으로 귀를 덮는 오버이어(Over-Ear)제품의 관심도 증가는 주목할 만하며, 삼성전자의 갤럭시 버즈 FE 등 주요 벤더사의 저가 모델 출시로 가성비를 추구하는 소비자의 니즈를 충족시키며 시장 회복에 힘쓰고 있다. 

 

스마트워치 시장은 약 287 만대를 출하하며 국내 웨어러블 시장의 점유율이 전년 대비 소폭 감소한 32.7%를 기록하였다. 스마트워치는 사용자의 스마트폰 브랜드와 하나의 디바이스 생태계를 이루며 삼성전자, 애플 등 주요 제조사의 제품이 선호되었으나, 경기 불확실성이 가중되며 소비심리 약화 및 디바이스 구매 우선순위 변동, 긴 교체주기 등으로 수요가 크게 감소하였다. 다만 제조사들은 스마트폰 신제품 출시와 함께 프로모션 진행, 탄력적인 재고 관리 등으로 변동성이 큰 시장 수요에 대응하며 수익성 개선을 위한 노력을 이어간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손목밴드 시장의 출하량은 약 31 만대로 집계되었다. 해당 시장내 대부분의 수요가 스마트워치 시장으로 옮겨가고 있지만, 키즈용 혹은 입문용과 함께 헬스 트래킹(Health Tracking) 단일 목적으로 가벼운 제품을 찾는 수요가 있는 것으로 분석된다. 

 

한국 IDC 에서 웨어러블 시장 리서치를 담당하고 있는 강지해 연구원은 “전반적인 웨어러블 시장은 경기 불확실성이 가중되고 대부분의 신규 수요를 충족하여 최근 2 년 연속 감소세를 보이고 있지만 여전히 성장 가능성이 높은 시장”이라며, “새로운 웨어러블 폼팩터인 링(Ring)과 스마트글래스 등의 신제품 출시로 최근 침체되어 있는 시장의 분위기를 환기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웨어러블 시장 내 제품 라인업을 다양화하여 시장 경쟁력 제고에 기여할 것으로 전망된다”고 언급했다. 

 

보다 자세한 웨어러블 시장에 대한 분석은 한국 IDC 웹사이트를 통해 확인 가능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