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6.03 (월)

  • 맑음속초18.1℃
  • 맑음16.3℃
  • 맑음철원15.9℃
  • 맑음동두천17.5℃
  • 맑음파주17.6℃
  • 맑음대관령9.9℃
  • 맑음춘천17.4℃
  • 맑음백령도18.9℃
  • 맑음북강릉17.2℃
  • 맑음강릉17.1℃
  • 맑음동해18.7℃
  • 맑음서울19.6℃
  • 맑음인천20.0℃
  • 맑음원주17.4℃
  • 구름조금울릉도17.2℃
  • 맑음수원19.7℃
  • 맑음영월18.3℃
  • 맑음충주17.8℃
  • 맑음서산18.6℃
  • 구름조금울진18.6℃
  • 맑음청주19.3℃
  • 맑음대전19.1℃
  • 구름많음추풍령15.2℃
  • 구름조금안동17.4℃
  • 구름조금상주16.8℃
  • 구름조금포항18.4℃
  • 맑음군산18.6℃
  • 구름많음대구18.5℃
  • 맑음전주19.3℃
  • 흐림울산17.4℃
  • 맑음창원20.7℃
  • 맑음광주18.8℃
  • 구름많음부산18.7℃
  • 맑음통영19.1℃
  • 맑음목포19.7℃
  • 구름조금여수18.9℃
  • 구름조금흑산도19.4℃
  • 맑음완도20.9℃
  • 맑음고창17.7℃
  • 맑음순천16.6℃
  • 맑음홍성(예)17.9℃
  • 맑음16.7℃
  • 맑음제주21.2℃
  • 맑음고산21.2℃
  • 맑음성산21.1℃
  • 구름조금서귀포22.7℃
  • 구름많음진주18.2℃
  • 맑음강화18.4℃
  • 맑음양평16.3℃
  • 맑음이천17.7℃
  • 맑음인제13.5℃
  • 맑음홍천15.0℃
  • 맑음태백14.1℃
  • 맑음정선군14.1℃
  • 맑음제천16.0℃
  • 맑음보은15.6℃
  • 맑음천안17.4℃
  • 맑음보령20.2℃
  • 맑음부여16.6℃
  • 맑음금산16.1℃
  • 맑음18.1℃
  • 맑음부안19.6℃
  • 맑음임실16.3℃
  • 맑음정읍19.6℃
  • 맑음남원16.5℃
  • 맑음장수14.8℃
  • 맑음고창군18.5℃
  • 맑음영광군19.1℃
  • 구름많음김해시18.2℃
  • 맑음순창군16.8℃
  • 구름조금북창원19.7℃
  • 구름많음양산시20.0℃
  • 맑음보성군19.1℃
  • 맑음강진군18.0℃
  • 맑음장흥17.5℃
  • 맑음해남18.4℃
  • 맑음고흥20.5℃
  • 구름조금의령군17.6℃
  • 맑음함양군17.6℃
  • 맑음광양시19.5℃
  • 맑음진도군18.5℃
  • 맑음봉화15.6℃
  • 맑음영주17.1℃
  • 구름조금문경17.1℃
  • 구름조금청송군17.6℃
  • 맑음영덕17.9℃
  • 구름많음의성16.1℃
  • 구름많음구미17.6℃
  • 구름많음영천17.0℃
  • 흐림경주시17.2℃
  • 맑음거창16.2℃
  • 구름많음합천17.7℃
  • 구름많음밀양18.3℃
  • 맑음산청17.1℃
  • 맑음거제19.0℃
  • 구름조금남해18.6℃
  • 구름많음19.1℃
기상청 제공
[인터뷰] 리콘랩스, AR 자동생성 솔루션 ‘플리카’ 개발…12월 오픈
  • 해당된 기사를 공유합니다

START UP

[인터뷰] 리콘랩스, AR 자동생성 솔루션 ‘플리카’ 개발…12월 오픈

네이버 스마트스토어, 카페24 등 링크만 삽입하면 제품을 AR로 자동 구현
반성훈 대표 “메타버스 일상화, 누구나 3D 모델로 소통하는 뉴미디어의 시대”


[CIOCISO매거진=홍상수 기자] 리콘랩스는 누구나 쉽게 AR과 VR 기술을 활용할 수 있는 획기적인 서비스를 개발했다. 게다가 비용도 합리적이다. 2019년 KAIST와 서울대 동문들이 주축으로 설립한 리콘랩스는 AI를 이용해 사진과 영상에서 3D모델과 AR/VR 콘텐츠를 자동으로 생성하는 SaaS 솔루션을 선보여 투자계의 주목을 받아왔다. 반성훈 대표는 “플리카를 통해 온라인쇼핑 판매자는 별도의 장비 없이 AR콘텐츠로 고객에게 생생하게 상품을 선보일 수 있다”며 “오는 12월에 정식 오픈”이라고 말했다. 

 


117_MG_0450.JPG

반성훈 리콘랩스 대표


A. AR커머스란, 그리고 플리카의 차별화된 성능은 무엇인가

AR커머스는 이커머스와 증강현실을 결합시킨 것이다. 그동안 시장에서 꾸준히 시도돼왔다. 한 예로 이케아는 2017년부터 AR로 구현한 이케아 플레이스를 서비스하고 있다. 작년부터 국내외 대형 유통사, 쇼핑 플랫폼들 또한 본격적으로 증강현실을 적용한 서비스들을 출시하고 있다. 

그런데도 AR커머스의 대중화가 더딘 이유는 증강현실의 재료라고 할 수 있는 3D 모델 공급이 쉽지 않기 때문이다. 3D 디자이너가 직접 제품의 3D 모델을 제작할 경우 일반적으로 제품당 30~300만원의 비용이 든다. 작업시간 또한 수개월이 걸릴 정도로 많은 시간이 필요하다. 유행에 민감한 e커머스 시장에서 긴 작업시간은 치명적이다. 결과적으로 제품 생산 단계에서 3D 모델을 확보하는 일부 대기업만이 AR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는 상황이다.

리콘랩스는 3D 모델 제작 과정을 자동화하여 제품을 360도 방향에서 촬영한 영상만으로 3D 모델을 자동 생성하는 플리카(PlicAR)를 개발했다. 스마트폰으로 사진과 영상을 찍어서 업로드 하면 자동으로 AR 콘텐츠를 생성하여 사용할 수 있다. 플리카를 사용하면 3~5만원의 저렴한 비용에 1~3시간이면 고품질의 AR 결과물을 얻을 수 있다. 

별도의 앱을 설치하지 않아도 웹브라우저에서 바로 사용이 가능한 WebAR 뷰어도 제공하고 있다. 

 

Reconlabs_backpack.png

 

A. 3D 모델 제작에 드는 비용과 시간을 대폭 감소시켰다. 그 원인은

영상 기반 3D 모델 제작 자동화의 중심에는 리콘랩스가 개발한 딥러닝 기반의 MVS(다시점 합성, Multi-View Synthesis) 알고리즘이 있다. 이 기술을 통해 3D 모델 자동화의 걸림돌이었던 반사, 투과 재질까지도 AR로 구현할 수 있고, 촬영이 다소 충분히 이루어지지 않은 영역까지도 추론하여 결과물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별도의 앱 설치 없이 웹 기반으로 AR 기능을 제공하는 것 또한 플리카의 강점이다. 카페24, 네이버 스마트스토어 등 웹 기반 전자상거래 플랫폼에서도 링크만 삽입하면 AR을 구현할 수 있다. 수천 만 원이 들어가는 앱 개발 비용과 제작 시간을 대폭 절감할 수 있게 된 것이다.


A. 획기적인 기술로 투자업계의 주목을 받았다. 그간의 레퍼런스는

리콘랩스는 올 상반기에 네이버, 카카오벤처스, 롯데벤처스, 신한캐피탈, 블루포인트파트너스 등에게 시드 투자를 유치했다. 올 3월에는 은행권청년창업재단 디캠프에서 운영하여 디데이에 120:1의 경쟁률을 뚫고 본선에 진출하여 청중상을 받았다. 4월에는 기술창업지원 프로그램인 TIPS에 선정되며 기술력을 인정받았다. 9월에는 주요 서비스는 플리카가 ‘대한민국 모바일 어워드’ 2021년 2차 수상작으로 선정됐다. 국가주도 해외사업진출 지원기관인 본투글로벌에서 2021 해외진출 프로그램에 최종 선정되어 해외사업 확대를 계획 중이다.

지난 7월 베타서비스를 오픈한 후로 국내에서는 가구회사, 예술품 판매 회사 등에서 1600여 개의 제품이 AR로 판매되고 있다. 

 

serviceImage_PlicAR.png


A. 어떤 시장을 타켓으로 마케팅을 하고 있는지

플리카의 사업화를 진행하는 과정에서 놀라웠던 점은, 자동으로 AR 또는 3D 모델을 생성해주는 서비스를 필요로 하는 고객 스펙트럼이 굉장히 넓다는 점이다. 배치해보거나 입어보는 것이 중요한 가구, 패션 뿐만아니라, 농산물, 교육 관련 기업들도 진지하게 증강현실 도입을 고려하고 있다. 개인이 업무 용도 등으로 사용하고 싶다고 문의 사례도 있다.

리콘랩스의 AR 구현 기술은 시간, 비용 측면에서 기존의 방식과 차별점이 있다. 이러한 차별화를 통해 대기업뿐만 아니라 중소규모의 기업들이 부담없이 사용할 수 있는 서비스란 점을 강조하고 싶다.

AR을 도입한 쇼핑몰, 플랫폼이 존재하지만 다수의 사람들이 AR 커머스를 생소하게 느낀다. 대부분은 AR/VR 또는 메타버스라는 단어에서 게임이나 비디오 콘텐츠를 떠올린다. AR/VR이 보다 많은 영역에 응용될 수 있으며, 관련 시장이 성장하고 있음을 강조하고 싶다.


A. 리콘랩스의 앞으로의 목표와 계획은

리콘랩스는 현재 베타로 운영 중인 플리카 서비스 12월 정식출시 하기 위해 안정화 작업과 마케팅 준비를 진행하고 있다. 서비스 출시에 맞춰 해외사업 확장도 발 빠르게 준비 중이다. 현재 진행 중인 본투 글로벌 해외진출 프로그램 뿐만 아니라 중소벤처기업부의 해외마케팅 지원사업, 한양대 글로벌 액셀러레이터 프로그램 등을 통해 해외 시장 조사를 진행 중이다. 내년 1월 CES 2022 전시회에도 참가하여 본격적인 해외 영업에도 나설 계획이다.

리콘랩스의 장기적인 목표는 AR커머스를 넘어서서 누구나 실사에 가까운 품질의 3D 모델을 쉽고 빠르게 만들 수 있는 도구를 만드는 것이다. 기존의 미디어가 2D에 머물러 있었다면, 메타버스가 일상화된 시대엔 누구나 3D 모델을 통해 소통하는 뉴미디어가 필요하다는 것이 리콘랩스의 생각이다.